최근 발표되는 은퇴후 편안한 생활을 하려면 어느 정도의 자산이 필요한지 통계자료를 보면, 남가주는 생활비가 비싼 지역으로 전국 상위권에 들고 소셜연금을 제외한 연간 필요한 생활비가 약 6만 3,795달러로 은퇴자산 규모가 2백만달러면 31년이면 소진된다고 한다. 편안한 은퇴생활을 위한 자산의 규모는 거주지, 주택소유 여부, 건강등의 여러가지 요소에 의해 다른 기준점이 정해지겠지만 은퇴후 생활은 본인자산의 인출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공통점을 가지고있다. 즉 은퇴후 생활은 지출의 규모가 나의 재정 상황에 적절한 수준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가 편안한 은퇴생활인지를 결정짓는 것이다. 통계상의 필요한 은퇴자금의 규모와 본인의 재정상황을 비교하면서 절망할 것이 아니라 한정된 본인의 자산규모로 어떤 식으로 인출해야할지 고민해보면 나름 적은 규모로도 가능한 방법이 있을 것이다. 은퇴이후에는 본인의 은퇴자산에서 인출하면서 생활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중요한 것은 노후 자금이 조기 소진되지 않도록 인출률을 권장 비율 한도(연 4퍼센트이하)내에서 인출해서 생활해야 한다. 위에 언급한 남가주의 생활비6만 3,795달러를 4퍼센트 인출을 통해 해결하려면 159만 4,875달러의 자산이 있어야하는것으로 나온다.
투자자산에서 일정 비율로 인출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방법을통해 어느정도의 은퇴자금확보가 가능한지 예를 들어들이고 이를통해 본인이 가지고 있는 자산의 인출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본인의 은퇴자산이 고갈되지 않도록 소셜연금이나 개인 연금수입이 있어야 안정적인 은퇴수입 확보가 가능한데 기본적인 소셜연금은 이미 정년동안 본인이 지급한 세금액에따라 결정되니까 이부분은 여기서는 다루지 않고 개인적으로 안정적인 자금을 확보하는 방법인 은퇴연금을 통해 은퇴자금을 확보하는 예를 들어보자.
은퇴시 재정 플랜에서 제대로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 최소한 세가지 면을 점검해야 한다.
첫째는 은퇴후 부부가 사망시까지 평생 본인이 필요한 자금이 평생 지급이 되도록 은퇴플랜이 제대로 준비되어 있는 살펴보아야 한다.
둘째는 본인 스스로 돌불 수 없는상황이 되었을때 누가 돌보게될지, 돌봄 서비스가 필요할 때 비용을 어떤 식으로 지급할지, 이로인한 이미 세워 놓은 은퇴재정플랜이나 자산에 최소한의 손상만 미치도록 준비가 되어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
세번째는 평생을 일궈놓은 자산을 부부 사망시 자손들에게 상속할 때 어떤식으로 상속을 해야 세금부과를 최소화로 하면서 자손들에게 간단하게 상속할 수 있는 플랜이 제대로 준비되어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
기본적인 이 세가지 요소를 잘 준비하고 점검하면 편안한 은퇴 생활과 자산의 이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중에서 롱텀케어에 대한 대비여부에 따라 본인의 은퇴 자산및 자산 이동에도 커다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에대한 준비를 더 철저히 하는것이 좋습니다. 롱텀케어 비용 준비의 중요성이 점점 대두가 되면서 주 차원의 정책 변화도 생기고 각 보험사들의 이에대한 대비로 새로운 플랜들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기본에 충실한 재정플랜은 유사시 뿐만 아니라 경제 상황의 변동에도 가정경제의 근간을 지켜준다. 개인 재정에 있어서 가장 기본은 가장의 유사시를 대비한 생명보험을 통해 가정의 재정을 지키는 것이다. 가정을 이루면서 자녀들이 성장할 때까지 가정의 재정적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생명보험은 그 어떤 재정플랜보다 강력한 보호 장치가 되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건강상의 문제나 불의의 사고 등의 불상사는 어느 누구도 예측 불가하고 나만은 피해갈 거라는 막연한 긍정감은 가정재정에 도움이 전혀 되지 않는다. 가정의 재정적 안정감을 우선해서 생명 보험을 가입한분들은 불상사가 생길 경우 본인이 힘들게 모아 놓은 자산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생명보험금으로 남아 있는 가정의 재정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고 질환으로 인한 의료비 지출을 감당할 수 있는 혜택을 받는다. 하지만 자녀들이 성장하고 난 후 은퇴 시 더 이상 생명 보험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고 이를 해지하는 분들도 계시는데 조금 더 깊이 고민한다면 생명보험이 가지고 있는 여러가지 혜택을 본인의 상황에 따라 그대로 누릴 수 있다.